1. 산불 피해보상 신청 대상
이번 산불 피해에 따른 금융지원은 ‘피해 사실이 확인된 주민’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정부는 경북 의성, 안동, 경남 산청, 울산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하거나 지정 절차를 진행 중이며, 피해 확인을 거친 주민을 대상으로 긴급 지원을 시작했습니다.
- 주택, 건물, 농지, 임야, 시설물 등에 직접적인 산불 피해를 입은 주민
- 피해 사실을 지자체에 신고하고 재해피해확인서(피해인정서)를 발급받은 사람
- 피해 지역 내 소상공인, 자영업자, 중소기업 경영자도 포함
※ 단, 재해피해확인서가 없는 경우엔 대부분의 금융지원 신청이 불가능하므로 신청 전 반드시 관할 지자체 또는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피해 신고 및 확인서 발급이 우선되어야 합니다.
2. 금융지원 종류 및 내용
피해 주민과 기업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금융지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. 하나는 일반 가계 대상 긴급 생활자금, 다른 하나는 소상공인·중소기업 대상 자금 및 보증 지원입니다.
개인·가계 대상 금융지원
-
긴급 생활안정자금
- 신한·우리·국민·부산·경남은행: 피해 개인 대상 최대 2천만 원 대출 지원
- 하나은행: 최대 5천만 원
- 농협: 조합원 대상 무이자 긴급생활자금 세대당 최대 1천만 원
- 수협: 피해 입증 시 인당 최대 2천만 원 생계자금 대출 지원
-
기존 대출 만기연장·상환유예
- 은행, 카드사, 보험사, 상호금융권 등 전 금융기관 참여
- 대출 원리금 3개월~1년 상환유예 또는 만기연장 가능
-
보험금 신속 지급 및 보험료 유예
- 피해사실 확인 시 보험금 신속 지급 및 보험료 최대 6개월 유예
소상공인·중소기업 대상 금융지원
-
신용보증기금 특례보증 지원
- 피해 복구를 위한 대출에 대해 특례보증 제공
-
보증만기 연장
- 기존 보증의 만기 1년 연장 가능
※ 지자체별 추가 창업·경영 회복 프로그램은 별도 문의 필요
3. 신청 절차 및 방법
피해확인서 발급이 가장 우선입니다
금융지원의 시작은 반드시 ‘재해피해확인서(피해인정서)’ 발급입니다. 이 서류 없이는 금융기관에서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.
- 방문접수: 주민센터 또는 읍·면사무소 방문 → 신청서 작성 → 현장 확인 → 피해확인서 발급
- 온라인접수: 국민재난안전포털 접속 → ‘참여와 신고’ → ‘사유재산피해신고’
금융지원 신청처
- 은행: 거래 중인 은행 지점 또는 피해 고객 대상 창구
- 농협·수협·신협 등 상호금융기관
- 신용보증기금, 지역신용보증재단
- 관할 지자체, 중소기업진흥공단
※ 기관마다 신청 조건 상이하므로 사전 문의 필수
피해지역 금융상담 지원
금융감독원은 ‘금융지원 긴급대응반’을 운영 중이며, 피해 주민을 위한 상담도 지원합니다.
금융상담센터 1332
이번 산불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, 지역 경제와 주민 삶 전체에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. 그러나 지원 제도는 준비되어 있고, 행동만이 회복을 앞당깁니다.
지금 이 순간에도 정부와 금융기관은 빠른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움직이고 있습니다. 재해피해확인서를 우선 준비한 뒤, 가까운 은행, 보증기관, 지자체에 문의해 받을 수 있는 지원을 하나도 빠짐없이 챙기세요.